반응형
가계도(Genogram)는 최소 3세대에 걸친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도구로, 가족의 역사와 주요 사건들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합니다. 가계도는 가족치료 및 상담에서 널리 사용되며, 가족 성원의 이름, 출생일, 결혼, 사망, 질병 등의 정보를 포함합니다. 이는 가족 구조와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가족 내 문제를 파악하며,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유용합니다.
가계도의 구성 요소
- 기본 정보: 각 가족 구성원의 이름, 출생일, 결혼일, 사망일 등을 포함합니다.
- 가족 관계: 부부, 부모-자녀 관계, 형제자매 관계를 나타내며, 이혼, 재혼 등의 정보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 감정적 관계: 관계의 질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갈등, 가까움, 소원함 등을 화살표나 색상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가계도 그리는 방법
- 기본 도형: 원은 여성, 사각형은 남성을 나타냅니다.
- 관계선: 결혼은 직선, 이혼은 이중선으로 표시합니다.
- 세대 구분: 위에서 아래로 세대를 나누어 표시합니다.
가족문제사정도구① 가계도: 개념과 특징, 가계도 작성법, 가계도 예시, 가계도의 상징, 가계도 분석방법/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기술 : 네이버 블로그
가족문제사정도구① 가계도: 개념과 특징, 가계도 작성법, 가계도 예시, 가계도의 상징, 가계도
가계도의 개념과 특징 가계도의 개념과 특징 3세대 이상에 걸친 가족성원에 관한 정보와 가족성원들 간의 ...
blog.naver.com
생태도란?
생태도(Ecomap)는 개인이나 가족이 외부와 맺고 있는 관계를 시각적으로 나타낸 도구입니다. 이는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맥락에서 개인의 위치와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생태도는 클라이언트의 삶을 둘러싼 다양한 요소들과의 상호작용을 평가하는 데 유용합니다.
생태도의 구성 요소
- 중심 인물: 도표의 중심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원으로 표시합니다.
- 주요 관계: 개인이 맺고 있는 중요한 관계들을 직선으로 연결하며, 가족, 친구, 직장, 기관 등을 포함합니다.
- 관계의 질: 관계의 강도와 질을 다양한 선과 기호로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강한 지지 관계는 굵은 선으로, 스트레스 관계는 지그재그 선으로 표시합니다.
생태도 그리는 방법
- 중심에 클라이언트 배치: 생태도의 중심에 클라이언트를 원으로 표시합니다.
- 외부 자원 추가: 클라이언트 주변에 가족, 친구, 직장, 커뮤니티 등의 자원을 원으로 표시하고, 클라이언트와의 관계를 선으로 연결합니다.
- 관계의 질 표현: 관계의 강도와 질을 다양한 선과 기호로 표시합니다.
가계도와 생태도의 차이점
- 가계도는 주로 가족 내의 관계와 역사를 시각화하는 데 중점을 두며, 세대 간의 관계를 상세히 나타냅니다.
- 생태도는 개인 또는 가족이 외부와 맺고 있는 관계를 시각화하며, 다양한 외부 자원과의 상호작용을 평가합니다.
가계도와 생태도는 각각의 목적에 맞게 사용될 때, 개인과 가족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 도구들을 적절히 활용하면 상담과 치료 과정에서 효과적인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