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뇌하수체 선종의 종류
뇌하수체 선종은 기능성 선종과 비기능성 선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기능성 선종: 호르몬을 과다 분비하는 선종입니다. 대표적인 기능성 선종으로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 프로락틴 분비 선종: 유즙 분비, 월경 불순 또는 무월경, 불임, 성욕 감소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 성장호르몬 분비 선종: 말단비대증을 일으켜 손발이 커지고 얼굴, 턱이 커지는 등의 신체적 변화를 초래합니다.
-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분비 선종: 쿠싱 증후군을 유발하여 얼굴이 둥글어지고 목 뒤에 지방이 축적되며 복부 비만 등의 증상을 나타냅니다.
- 비기능성 선종: 호르몬을 분비하지 않으며, 종양 자체의 크기에 따라 증상이 나타납니다. 주로 두통과 시야 장애를 유발합니다.
뇌하수체 선종의 증상
뇌하수체 선종의 증상은 종양의 크기와 호르몬 분비 여부에 따라 다릅니다.
- 종양의 크기 증가로 인한 증상:
- 두통
- 시야 장애: 시야의 바깥쪽이 보이지 않거나 흐리게 보이는 비측 반맹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시력 저하, 복시, 시야가 좁아지는 증상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 호르몬 이상 분비로 인한 증상:
- 프로락틴 분비 선종: 유즙 분비, 월경 불순, 불임, 성욕 감소 등
- 성장호르몬 분비 선종: 말단비대증, 심혈관 질환, 고혈압, 당뇨 등의 질환
-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분비 선종: 쿠싱 증후군, 비만, 피부 변화 등.
진단 방법
뇌하수체 선종은 피검사와 MRI를 통해 진단됩니다. MRI를 통해 종양의 크기와 위치를 정확히 확인하며, 필요 시 호르몬 검사를 추가로 진행합니다. 종양이 호르몬을 과다 분비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호르몬 검사를 시행합니다.
치료 방법
뇌하수체 선종의 치료는 크게 수술적 치료와 약물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수술적 치료:
- 주로 비강을 통해 종양을 제거하는 경접형동 수술이 사용됩니다.
- 수술 후 남아 있는 종양 제거를 위해 방사선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 약물 치료:
- 프로락틴 분비 선종에는 도파민 작용제를 투여하여 프로락틴 분비를 억제합니다.
- 성장호르몬 분비 선종에는 소마토스타틴 유사체를 사용하여 호르몬 분비를 억제합니다.
- 쿠싱 증후군을 유발하는 선종에는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억제제를 사용합니다.
예후 및 관리
뇌하수체 선종은 대부분 양성 종양이지만, 적극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치료 후에도 정기적인 MRI와 호르몬 검사를 통해 재발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호르몬 분비성 선종은 철저한 관리가 요구됩니다.
뇌하수체종양 늘고 있어… 모르고 방치하면 실명·말단비대
뇌하수체종양 늘고 있어… 모르고 방치하면 실명·말단비대
국내 연구진, 악성 뇌종양 '교모세포종' 치료제 임상시험 발표
m.health.chosun.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