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 문화에서 '동짓달', '섣달', '초하루', '그믐'은 음력 달력과 관련된 중요한 용어들입니다. 각 용어의 의미와 유래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동짓달
'동짓달'은 음력 11월을 가리키는 말로, '동지(冬至)'가 포함된 달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동지는 태양이 가장 남쪽에 위치하여 낮의 길이가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시점을 의미하며, 이 시점은 음력 11월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동짓달은 겨울의 한가운데에 위치한 달로, 추위가 가장 심한 시기를 나타냅니다.
과거 설은 동지부터 섣달그믐까지 쇠었다 - 글로벌이코노믹
과거 설은 동지부터 섣달그믐까지 쇠었다 - 글로벌이코노믹
설 동요 속 ‘까치설날’은 양력 12월 22일 경 ‘동지’ 의미집안의 재복 다스리는 조왕신에게 엿과 찰진 떡 바쳐무엇인가 다시 시작 한다는 것은 새로운 희망이며 활력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일
www.g-enews.com
2. 섣달
'섣달'은 음력 12월을 의미하며, '설이 드는 달'이라는 뜻에서 유래했습니다. '설'은 음력 1월 1일인 설날을 가리키며, 섣달은 한 해의 마지막 달로서 설날을 준비하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가족들이 모여 한 해를 마무리하고 새해를 맞이하는 다양한 풍습이 이어집니다.
3. 초하루
'초하루'는 음력 1일을 의미하며, 한 달의 첫 번째 날입니다. 이 날은 새로운 달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날로, 다양한 세시풍속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설날인 정월 초하루에는 조상을 모시고 차례를 지내며, 새해의 복을 기원하는 풍습이 있습니다.
4. 그믐
'그믐'은 음력 한 달의 마지막 날을 가리키는 말로, 보통 음력 29일 또는 30일에 해당합니다. 이 날은 한 달을 마무리하고 다음 달을 준비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특히 섣달 그믐날은 한 해의 마지막 날로서, 새해를 맞이하기 위한 다양한 준비와 풍습이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국의 전통적인 시간 관념과 세시풍속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각 용어의 의미와 유래를 통해 한국 문화의 깊이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