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흙막이 벽 공사시 붕괴 되는 현상 종류

by 두꺼운장갑 2024. 10. 7.
반응형

흙막이 벽 공사는 지하 구조물 시공 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다양한 붕괴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대책이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흙막이 벽 공사 시 발생할 수 있는 붕괴 현상의 종류와 이를 방지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붕괴 현상 종류

  1. 흙막이 변위 및 붕괴
    • 강성 부족: 흙막이 벽의 강성이 부족하면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되거나 붕괴될 수 있습니다.
    • Strut 귀잡이 시공 불량: Strut(지지대)의 설치가 불량하면 흙막이 벽이 제대로 지지되지 않아 붕괴 위험이 높아집니다.
    • Strut와 띠장의 중심 불일치: Strut와 띠장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으면 구조적 불안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띠장과 흙막이 벽 접촉 상태 불량: 띠장과 흙막이 벽이 제대로 접촉하지 않으면 지지력이 약해져 붕괴될 수 있습니다.
  2. 주변 지반 침하
    • Heaving 현상: 상부 크레인 등 작업하중으로 인해 지반이 융기하는 현상으로, 압밀침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Boiling 현상: 지하수위 차이로 인해 지반이 붕괴되는 현상입니다.
  3. 지하수의 변동
    • 지하수의 변동으로 인해 흙막이 벽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4. 지하매설물 파손
    • 지반조사가 미비하거나 도면 표기가 불명확할 경우, 지하에 매설된 하수도, 가스 배관 등이 파손될 수 있습니다.
  5. 가로널 뒷면 틈새
    • 흙막이 배면의 토사가 유실되거나 지하수 유출로 인해 틈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공사장 흙막이 벽 붕괴 원인”…추가 위험 없나 | KBS 뉴스

 

“공사장 흙막이 벽 붕괴 원인”…추가 위험 없나

[앵커] 이 사고는 인접한 공사장의 흙막이가 무너지면서 발생한 것으로 잠정 조사됐습니다. 시공사 역시 안...

news.kbs.co.kr

 

방지방법

  1. 사전조사 및 시공계획 수립
    • 설계도서, 입지조건, 지반조사 등을 철저히 검토하여 공사 계획을 수립합니다.
    • 공기 단축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시공 계획을 세웁니다.
  2. 차수성 및 강성인 흙막이 벽 시공
    • Slurry Wall 또는 주열식 흙막이 시공을 통해 차수성과 강성을 확보합니다.
    • 시공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공법을 선택합니다.
  3. 계측관리 철저
    • 공사 중 계측 관리를 철저히 하여 흙막이 벽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합니다.
  4. 근입장 확보
    • Heaving 및 Boil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수압과 토압에 견딜 수 있는 Strut를 시공합니다.
    • 흙막이 배면을 철저히 뒷채움하여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5. 배수계획 철저
    • Boiling 방지를 위해 복수공법을 적용하고, De watering 공법을 사용하여 지하수를 관리합니다.
  6. 주변 지반 보강
    • 약액주입공법(시멘트 그라우팅, JSP) 등을 통해 주변 지반을 보강합니다.
    • 주변 건물은 언더피닝 공법을 사용하여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7. 지하매설물 체크 철저
    • 공동구, 하수도, 가스, 수도, 전기, 전화 등 공공매설물을 철저히 검토하고 관리합니다.

흙막이 벽 공사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붕괴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사전조사와 계획 수립, 그리고 적절한 시공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 글이 흙막이 벽 공사 시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다른 질문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말씀해 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