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이피타임 공유기를 사용하면서 DDNS(Dynamic Domain Name System) 설정을 통해 동적 IP 주소를 고정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하면, 외부에서도 쉽게 네트워크 장치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아이피타임 공유기의 DDNS 설정 및 등록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DDNS란 무엇인가?
DDNS는 동적 IP 주소를 고정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는 동적 IP 주소를 할당하기 때문에, IP 주소가 변경될 때마다 외부에서 네트워크 장치에 접근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DDNS를 사용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아이피타임 공유기 DDNS 설정 방법
- 공유기 관리 페이지 접속
- 웹 브라우저를 열고 주소창에
192.168.0.1
을 입력하여 아이피타임 공유기 설정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기본 로그인 정보는 아이디
admin
, 비밀번호admin
입니다. 로그인 후 설정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웹 브라우저를 열고 주소창에
- DDNS 설정 메뉴 접근
- 설정 페이지에서 좌측 메뉴의
고급 설정
을 클릭한 후,특수 기능
항목에서DDNS 설정
을 선택합니다.
- 설정 페이지에서 좌측 메뉴의
- DDNS 등록
호스트 이름
에 원하는 도메인 이름을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myhome.iptime.org
와 같이 입력할 수 있습니다.사용자 ID
에는 유효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 이메일 주소는 DDNS 서비스 계정으로 사용됩니다.- 모든 정보를 입력한 후
DDNS 등록
버튼을 클릭합니다.
- 정상 등록 확인
- 등록이 완료되면, 설정 페이지에서
정상 등록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상태가 표시되면 DDNS 설정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것입니다.
- 등록이 완료되면, 설정 페이지에서
DDNS 설정 후 확인 사항
- 포트 포워딩 설정: 원격 접속을 위해서는 포트 포워딩 설정이 필요합니다. 설정 페이지에서
고급 설정
>포트 포워딩
메뉴로 이동하여 필요한 포트를 설정합니다. - 원격 관리 포트 사용: 외부에서 공유기 설정 페이지에 접근하려면
원격 관리 포트 사용
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설정 페이지에서고급 설정
>관리 도구
>원격 관리
메뉴로 이동하여 포트를 설정하고 적용합니다.
아이피타임(IPTIME) DDNS 설정(외부에서 집의 컴퓨터 장비 접속을 위한 설정)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결론
아이피타임 공유기의 DDNS 설정을 통해 동적 IP 주소 문제를 해결하고, 외부에서도 쉽게 네트워크 장치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이 아이피타임 공유기 DDNS 설정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반응형